반응형 전체 글87 Flutter Web에서 폰트적용 안되는 이슈 해결 방법 들어가며Flutter로 웹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한글 폰트로 Pretendard를 적용하려고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Flutter에서는 pubspec.yaml에 폰트를 추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인데요. 하지만 이 방식으로는 Pretendard 폰트가 제대로 적용되지 않는 이슈가 있었습니다. 오늘은 이 문제를 해결한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문제 상황처음에는 Flutter의 일반적인 폰트 적용 방식인 pubspec.yaml에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을 시도했습니다.# pubspec.yaml flutter: fonts: - family: Pretendard fonts: - asset: assets/fonts/Pretendard-Regular.otf - asset: assets/fonts/Pretenda.. 2024. 11. 7. 상법 개정 반대는 특권 수호를 위한 변명일 뿐. 최근 대통령실과 국민의 힘인 여당이 상법 개정에 반대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 경제의 미래가 걱정된다. 그들이 내세우는 반대 논리는 과거 재벌 중심 경제 체제의 관성에 갇혀 있을 뿐, 글로벌 스탠다드와 현대 기업지배구조의 흐름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하나씩 짚어보자. 1. '기업 부담 증가' 논리는 누구를 위한 기업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회피하고 있다. 현재 이사회가 '부담'없이 운영되는 이유는 이사회가 본연의 역할을 전혀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사회는 단순히 대주주가 정해놓은 방향에 거수기 역할만 하면 되니, 당연히 '부담'이 없을 수밖에 없다.이는 이사회 제도의 근본적 취지를 완전히 왜곡하는 것이다. 이사회는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해 치열한 토론과 검증을 통해 최선의 방향을 도출하라고 만든.. 2024. 11. 6. 고려아연 한국 자본시장의 민낯: 1.84% 지분으로 4조8천억을 좌우하다 최근 고려아연을 둘러싼 경영권 분쟁 사태를 지켜보면서, 아이러니하게도 최윤범 회장께 감사한 마음이 든다. 우리나라 기업지배구조의 민낯을 이보다 더 적나라하게 보여줄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요즘 금융투자소득세 논란에 가려져 있지만, 이번 고려아연 사태는 우리나라 상법 개정이 얼마나 시급한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다. 불과 1.84%의 지분을 가진 최윤범 회장. 특별관계자를 모두 합쳐도 15.65%에 불과한 지분으로 회사를 좌지우지해왔다. 이번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경영권 방어를 위해 무려 회사의 자금 2조 3천억원을 동원했다. 하나은행 4천억원, SC은행 5천억원, 메리츠증권 1조원, 한국투자증권 2천억원, KB증권 2천억원 등 대규모 차입을 일으켜 자사주 매입에 나섰다. 더욱.. 2024. 11. 1. LG에너지솔루션 3Q24 실적발표 - 피엔티 투자자 관점 분석 1. 신규 수주 및 생산설비 확장대규모 신규 계약 체결: 총 160GWh 규모의 신규 공급계약 확보북미 지역: 28년부터 10년간 50GWh 규모 (애리조나 공장)유럽 지역: 109GWh 규모 (26년 이후 폴란드 양산)2. 신규 생산기술 도입CTP(Cell to Pack) 기술세계 최초로 고전압 미드니켈 제품에 적용 성공LFP 배터리 생산에도 CTP 기술 도입 예정건식전극 공정28년부터 본격적인 상용화 계획에너지 밀도 개선 및 원가 절감 기대3. 생산설비 효율화 및 전환 계획기존 EV 배터리 생산라인의 ESS용 전환 추진폴란드, 중국 공장 가동률 개선 중북미 신규 증설 속도 조절 예정4. 향후 투자 계획25년 CAPEX는 24년 대비 큰 폭 감소 예상필수적인 신증설 투자는 지속 진행ESS 부문 북미 시.. 2024. 10. 28. 특허와 공시자료로 본 피엔티 건식 공정? 2024년 5월, 디일렉은 피엔티가 테슬라에 건식용 전극공정장비를 납품했다는 소식을 보도했다. 이 보도 이후 피엔티의 주가는 급등했으나, 현재 해당 기사는 관리자에 의해 블락 처리된 상태이다.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8197 피엔티, 테슬라 원통형 배터리용 '게임체인저' 핵심장비 진입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배터리 장비 전문 기업 피엔티가 테슬라에 배터리 생산용 장비 공급에 성공했다. 배터리 양극과 음극을 만드는 전극공정용 장비가 대상이다. 국내 기업이 테슬라에 배터리 장비 공급에 성공한www.thelec.kr 본 글에서는 해당 보도가 오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테슬라 납품 자체는 사실일 수 있으.. 2024. 10. 28. 피엔티 - IRA 최종안 핵심 해설 (24년 10월 업데이트) 내가 생각 하는 피엔티와 같은 장비 업체 입장에서 예상되는 기회:미국 현지 생산 요건으로 인한 신규 수주 기회규정상 "미국 또는 미국 영토 내에서 생산되는 적격 구성 요소"에만 세액공제 적용이로 인해 배터리 제조사들의 미국 내 신규 공장 설립 가능성 증가특히 전극 공정 장비의 경우, 배터리 핵심 공정이므로 초기 투자시 필수 발주 항목📈 투자자 주요 포인트 요약1. 세액공제 단계적 축소 일정 확정• 2029년 12월 31일까지: 현행 유지• 2030년: 75% 적용• 2031년: 50% 적용• 2032년: 25% 적용• 2033년 이후: 0%2. 핵심 광물 예외 조항• 중요: 핵심 광물은 단계적 축소 대상에서 제외• 생산/가공 비용의 10% 세액공제 유지• 리튬,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핵심 소재 포함.. 2024. 10. 26. 아이폰을 흑백으로 바꾸면 생기는 놀라운 변화 (도파민 디톡스의 시작) https://search.shopping.naver.com/book/catalog/32458415870?cat_id=50005775&frm=PBOKPRO&query=%EC%9D%B8%EC%8A%A4%ED%83%80+%EB%B8%8C%EB%A0%88%EC%9D%B8&NaPm=ct%3Dm2q407uo%7Cci%3D495bbdd4fc7667315b9a57484f3737fb8c69d894%7Ctr%3Dboknx%7Csn%3D95694%7Chk%3D8a50f979ee8a87ec2bede413d95ca08982501c12 인스타 브레인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 여러분은 하루에 얼마나 많은 시간을 스마트폰과 함께 보내시나요? 특히 SNS를 하다 .. 2024. 10. 26. 삼성전자가 진정 망해가는 이유는 경영 세습을 못하기 때문일까? 오늘 텔레그램에서 삼성전자의 현 상황에 대한 흥미로운 주장을 접했다. 글쓴이는 이재용 회장이 자녀에게 경영권을 승계하지 못하게 된 것이 회사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자녀에게 물려줄 수 없는 회사를 위해 누가 열정을 바치겠느냐는 것이다.하지만 이러한 시각은 기업의 본질을 오해한 것이 아닐까? 기업의 최고경영자는 주주들의 신임을 받아 그 자리에 오른 수탁자다. 그들의 책무는 회사와 주주들의 이익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지, 자신의 유산을 물려주기 위한 자리가 아니다. 만약 더 이상 그 책무를 다할 의지가 없다면, 그것이야말로 그 자리를 내려놓아야 할 이유가 된다.현대 경영의 역사는 세습과 성공이 필연적 관계가 아님을 보여준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나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와 같은 기업가들은 .. 2024. 10. 24. 가설 문제 발견 주식 투자를 하면서 다양한 단톡방, 가치투자카페, 주주연대 카페, 네이버 종목 토론방 등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접했다. 이 커뮤니티에서 자주 눈에 띄는 글은 주가 상향을 위해 회사가 행동하기를 바라는 글, 각종 광고, 주가 하락에 대해 조롱하는 글이었다. 사람들은 광고와 조롱 글을 보고 싶어 하지 않았고, 글만 쓰는 게 아니라 실제로 회사에 주주제안을 하기를 원하였다. 이것은 나에게도 있는 니즈였고 '찐 주주들만 회사 운영 방식에 대해 토론하고 결과를 쉽게 주주제안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플랫폼이 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가설 및 검증 전략 위의 니즈 발견을 바탕으로 세운 가설을 정리하자면 이렇다: 타깃 유저 투자하는 회사의 정보를 서로 공유하고 주가 상승을 원하는 사람들 -> .. 2022. 4. 20. [실 소유 주식 기반 주주활동 플랫폼] 자본시장법 해결 방안 실질주주증명서 발급을 받기 위해서는 예탁자를 통해서만 가능하다고 자본시장법에 명시가 되어있다. 나는 제 3자도 동의를 받으면 신청 가능하도록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청한 상태이다. 만약 규제를 풀 수 없다면 해결 방법은 각 증권사들과의 협업이 될 것 같다. 마이데이터를 통하면 고객이 어느 증권사를 통해 주식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으니 해당 증권사에 실질주주증명서 발급을 요청해야 할 것 같다. 어떻게 증권사에게 협업하자고 꼬실 수 있을지 생각해봐야겠다 2022. 4. 1.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