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법 개정3 김상훈 의원의 '땡처리 대상' 발언은 오해다... 상법 개정이 기업 가치 높이는 길 https://www.ajunews.com/view/20241125125918988김상훈 의원이 상법 개정안에 대해 제기한 우려는 현실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지금의 상황이 우리 기업들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싶습니다.첫째, 한국 기업들이 '땡처리 대상'이 될 것이라는 우려는 현실을 거꾸로 보는 것입니다. 지금도 우리 기업들은 심각하게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불투명한 지배구조와 대주주 중심의 경영 때문입니다. 대주주가 마음대로 하는 회사에 누가 투자하고 싶어하겠습니까?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우리 기업들은 영원히 저평가될 수밖에 없습니다.둘째, 돌턴인베스트먼트의 보고서를 부정적으로 인용하신 것도 재고가 필요합니다. 우리 기업들이 지금 '초특가.. 2024. 11. 25. 금융위원장 공식적으로 상법 개정 반대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5060659?sid=101 "상법 개정보단 다른 방안을…" 드디어 입장 밝힌 금융위원장'상법 개정'을 놓고 뚜렷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온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24일 답을 내놓았다. "법 개정은 부작용이 많아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으로다. 사실상 상법 개정에 대한 반대 의사를 밝힌n.news.naver.com 금융위원장의 주장을 반박하겠습니다.먼저, 의사결정 지연과 불확실성 증가에 대한 우려를 검토해보겠습니다. 현행법에서도 이사는 "회사를 위하여" 직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합니다. 여기서 '회사의 이익'이란 무엇일까요? 회사는 결국 주주들의 투자로 설립되고 운영되는 법적 실체입니다. 따라서 회사의 이익과 주주의 이익은 본질적으로 분.. 2024. 11. 25. 상법 개정과 소송 남발 우려: 과도한 공포와 진실 사이 최근 논의되고 있는 상법 개정을 둘러싸고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경제계를 중심으로 소송 남발 가능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며, 미국식 제도의 맹목적 도입에 대한 비판, 제도의 완성도 문제, 조항의 모호성, 그리고 해외 투기자본의 공격 가능성 등 여러 측면에서 우려가 표명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법 개정의 실제 내용과 그 영향에 대해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많이 제기되는 우려는 소송이 남발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특히 경제계에서는 이사의 충실의무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무분별한 소송이 제기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는 현행 제도와 법원의 역할, 그리고 개정안의 실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현재도 주주들은 이사의 불법행위.. 2024. 11.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