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oding12 알고리즘 - 누구나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 1 자료 구조가 중요한 까닭 속도 측정 → 연산이 얼마나 “빠른가"를 측정 할 때는 얼마나 많은 단계가 필요한지를 생각 해야한다. 배열에 데이터 삽입 → 삽입할 공간을 만들기 위해 기존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단계가 필요함. 맨 뒤의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한칸씩 이동 한다. 배열에서 데이터 삭제 → 메모리에 빈 공간이 있으면, 효율적이지 않음. 데이터 삭제 후, 남은 데이터를 이동 시켜 빈 공간을 메우는 작업이 필요함. 집합에 데이터 삽입 → 중복 된 데이터가 있는지 먼저 확인 하여야 하므로, 검색 단계 + 삽입 단계가 필요함. 결론 → 중복 제한이 없다면 배열이 집합 보다 좋다. 2022. 3. 2. 프로그래머스 - 폰케몬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845 코딩테스트 연습 - 폰켓몬 당신은 폰켓몬을 잡기 위한 오랜 여행 끝에, 홍 박사님의 연구실에 도착했습니다. 홍 박사님은 당신에게 자신의 연구실에 있는 총 N 마리의 폰켓몬 중에서 N/2마리를 가져가도 좋다고 했습니다. programmers.co.kr 난 파이썬이 편하여 이때까지는 파이썬으로 풀었지만, 토스사의 백엔드로 입사가 하고 싶어서, 앞으로는 javascript로 문제를 풀기로 했다. 이번 문제를 통해 배운 점은 set의 길이를 위한 함수는 size라는 점이다. 파이썬과 같이 array이나 set나 길이를 위한 함수가 같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arrary이는 length, set은 size. 2022. 2. 4. 이전 1 2 다음 반응형